9급 지방직 공무원 재배학개론

2021년06월05일 5번

[과목 구분 없음]
염색체상에 연관된 대립유전자 a, b, c가 순서대로 존재할 때, a-b 사이에 염색체의 교차가 일어날 확률은 10%, b-c 사이에 염색체의 교차가 일어날 확률은 20%이다. 여기서 a-c 사이에 염색체의 이중교차형이 1.4%가 관찰될 때 간섭계수는?

  • ① 0.7
  • ② 0.3
  • ③ 0.07
  • ④ 0.03
(정답률: 64%)

문제 해설

a와 c 사이의 이중교차형은 b를 경유하는 경로와 경유하지 않는 경로 두 가지가 있다. 이 때, b를 경유하는 경로에서는 b-c 사이에 염색체 교차가 일어나지 않아야 하므로 확률은 (1-0.2) = 0.8이다. 반면, b를 경유하지 않는 경로에서는 a-b 사이와 b-c 사이에 염색체 교차가 일어나지 않아야 하므로 확률은 (1-0.1) x (1-0.2) = 0.72이다. 이 두 가지 경로는 서로 독립적이므로 이중교차형이 관찰될 확률은 0.8 x 0.72 x 0.014 = 0.00864이다. 따라서 간섭계수는 (0.014 - 0.00864) / (1 - 0.1) = 0.3이다.
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

연도별

진행 상황

0 오답
0 정답